야구에서 홀드(Hold)와 세이브(Save)는 구원 투수가 팀의 승리를 지켜낼 때 기록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두 기록은 각각 다른 조건에서 인정되며,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홀드와 세이브의 차이를 쉽게 설명하고, 다양한 예시를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세이브(Save)란?
세이브는 팀이 승리하는 상황에서 마지막 투수가 등판하여 리드를 지킨 경우 기록되는 지표입니다. 즉, 경기의 마지막을 책임지는 마무리 투수가 주로 기록하게 됩니다. 마지막에 던져서 팀이 이겨야 한다는 것만 기억하면 됩니다.
세이브가 인정되는 조건
- 구원 투수로 등판해야 함 (선발 투수는 해당 없음)
- 경기의 마지막까지 던져야 함 (즉, 경기 종료 시점까지 마운드에 있어야 함)
- 팀이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야 함
- 다음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함:
- 팀이 3점 이하로 리드하는 상황에서 마지막 이닝에 등판하여 경기 종료
- 3이닝 이상 던지고 경기 종료 (점수 차 상관없음)
- 등판 당시, 타석에 있는 타자가 동점 또는 역전을 만들 수 있는 상황
세이브 인정되는 경우
- 팀이 4-3으로 이기고 있는 9회초, 마무리 투수가 등판
- 무실점으로 상대 팀 공격을 막고 경기가 종료됨
- 세이브 인정 (3점 이하 리드 상황에서 마지막까지 책임짐)
3이닝 이상 던져서 세이브 인정되는 경우
- 팀이 10-4로 이기고 있는 7회초, 구원 투수가 등판
- 7~9회까지 3이닝을 던지고 경기 종료
- 세이브 인정 (점수 차 상관없이 3이닝 이상 던지고 경기 종료하면 세이브 기록됨)
4점차 세이브 인정 되는 경우
- 팀이 7-3으로 이기고 있는 9회초, 만루 상황에서 마무리 투수가 등판
- 무실점으로 상대 팀 공격을 막고 경기가 종료됨
- 세이브 인정 (3점 이하 리드 상황에서 마지막까지 책임짐)
홀드(Hold)란?
홀드는 구원 투수가 팀이 리드하는 상황에서 등판하여 리드를 유지한 채 교체될 경우 기록되는 지표입니다. 즉, 마무리 투수가 아닌 중간에 나오는 중견, 구원, 셋업맨이 많이 기록하게 됩니다.
홀드가 인정되는 조건
- 구원 투수로 등판해야 함 (선발 투수는 해당 없음)
- 팀이 3점 이하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해야 함 (점수 차가 4점 이상이면 기본적으로 홀드 불인정)
- 다만, 4점 차 이상이어도 타석에 있는 타자가 동점 또는 역전을 만들 수 있는 상황이면 홀드 인정
- 아웃카운트 1개 이상을 잡고 강판되어야 함
- 본인이 실점해서 리드를 빼앗기지 않아야 함
- 경기가 끝날 때까지 팀이 승리해야 최종적으로 인정됨
홀드 인정되는 경우
- 팀이 5-2로 이기고 있는 7회초, 구원 투수가 등판
- 7회에 아웃카운트 2개를 잡고 강판됨
- 홀드 인정 (리드를 유지한 채 교체됨)
4점 이상이어도 홀드 인정되는 경우
- 팀이 6-2로 이기고 있는 7회초, 만루 상황에서 구원 투수가 등판
- 타자가 홈런치면 동점 또는 역전이 되는 상황
- 7회에 아웃카운트 2개를 잡고 강판됨
- 홀드 인정 (리드를 유지한 채 교체됨)
홀드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
- 팀이 6-2로 이기고 있는 8회초, 구원 투수가 등판
- 8회 등판 후 3점을 내주어 6-5가 됨
- 이후 마무리 투수가 나와 9회를 막고 팀이 승리함
- 홀드 인정 안 됨 (등판 후 리드를 빼앗길 경우 홀드 불인정)
홀드와 세이브 차이 정리
구분 | 홀드 (Hold) | 세이브 (Save) |
---|---|---|
누가 기록? | 경기 중반에 등판한 구원 투수 | 경기 마지막을 책임진 마무리 투수 |
경기 종료 시점 | 경기 중간에 교체 가능 | 마지막까지 던져야 함 |
팀이 패배해도 기록되나? | 가능 | 불가능 (팀이 반드시 승리해야 함) |
점수 차 조건 | 3점 이하 리드 상황 또는 동점 가능 상황 | 3점 이하 또는 동점 가능 상황 |
최소 요구 조건 | 아웃카운트 1개 이상 | 경기 종료까지 던짐 |
마치며
투수 세이브 홀드 기준 정리,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야구가 참 어렵죠? 쉽게 생각해서 세이브는 3점이내 마지막에 나와서 점수 유지하면 세이브, 홀드는 3점이내 도중에 나와서 점수 유지하면 홀드라고 보면 됩니다. 3점 이상인 상황도 있는데 이는 너무 복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