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출신 래퍼 드레이크가 유명하죠? 드레이크 이야기에 매번 나오는 것이 캐나다는 영국 소유라는 이야기입니다. 이게 반은 틀렸고, 반은 맞는 애매한 이야기입니다. 여기에 나오는 개념인 영연방과 영국령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영연방 뜻(The Commonwealth)
1. 정의
영연방(The Commonwealth of Nations)은 과거 영국 식민지였던 나라들과, 영국과 역사적 연관이 깊은 국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정치적·경제적 협의체입니다.

- 공식 명칭: Commonwealth of Nations
- 국가 수: 56개국 (2025년 기준)
- 총 인구: 약 25억 명 이상
- 본부: 영국 런던 (Marlborough House)
- 설립 연도: 1931년 (Statute of Westminster → 정식 독립 인정)
2. 영연방 회원국 및 조건
구분 | 내용 |
---|---|
회원국 | 대부분 영국 식민지 출신 국가 (인도, 호주, 캐나다 등) |
회원 조건 | 반드시 영국 식민지였던 나라일 필요는 없음 (예: 모잠비크, 르완다) |
정부형태 다양성 | 군주제(영국 국왕이 국가원수), 공화국, 입헌군주국 등 혼재 |
자발적 가입 | 탈퇴·재가입 가능 (예: 짐바브웨 탈퇴 후 재가입 신청) |
3. 영연방과 영국의 관계
- 통치 관계는 없음 → 각국은 주권을 가진 독립국가
- 일부 국가는 영국 국왕을 형식적 국가원수로 인정 (예: 캐나다, 호주)
- 나머지 국가는 자국 대통령이나 총리 중심의 공화국 체제
4. 영연방의 역할
목적 | 설명 |
---|---|
정치 협력 | 민주주의, 법치주의, 인권 존중 원칙 공유 |
경제 연대 | 회원국 간 무역, 투자, 개발협력 추진 |
교육·청년 교류 | 장학제도(Chevening), 문화·스포츠 교류 강화 |
역사적 유산 | 영국과의 공통 언어(영어)와 제도 공유 |
5. 영연방의 대표적인 국가
대륙 | 대표 회원국 |
---|---|
아시아 | 인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
유럽 | 영국, 몰타, 키프로스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 가나, 케냐 |
오세아니아 | 호주, 뉴질랜드, 피지 |
아메리카 | 캐나다, 자메이카, 바하마 |
6. 한국은 영연방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한국은 영연방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 내용 |
---|---|
식민지 역사 | 한국은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고, 일제강점기(1910~1945) 동안 일본 제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
연결성 부족 | 영국과 역사적·제도적 연결 고리가 약합니다. (영어 사용, 법 체계 등은 일부 간접적 영향만 있음) |
회원 자격 미충족 | 영연방은 과거 영국령 또는 영국과 특별한 협력 관계를 가진 나라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한국은 이 기준에 해당하지 않음. |
정치적 거리 | 한국은 자유 진영 중심 외교는 유지하지만, 영연방 국가들과의 전략적 연결은 제한적입니다. |
영연방 요약
영국과 식민지, 관계가 깊은 국가들이 자발적으로 보여서 만든 합의체, 쉽게 말하면 영국과 관련 깊은 국가들의 동호회라고 보면 됩니다.
영국령 뜻 (British Overseas Territories)
1. 정의
영국령(BOTs, British Overseas Territories)은 영국의 통치 아래에 있는 해외 영토를 뜻합니다. 이들은 영국 섬 밖의 행정구역이지만, 외교·방위는 영국이 담당하며, 일정한 자치권을 보유합니다.

📌 예전에는 “식민지(British Colonies)”로 불렸지만, 현재는 법적으로 “해외 영토(BOTs)”로 명칭 변경됨.
2. 영국령 회원국 및 국가수
항목 | 설명 |
---|---|
국가 수 | 14개 지역 (2025년 기준) |
국제적 지위 | 유엔이 인정한 비독립 지역 (Non-Self-Governing Territories) |
주민 거주 여부 | 주민 거주 지역과 무인도 모두 포함 |
시민권 | 대부분 영국 여권 발급 가능, 영국 시민권 부여됨 |
자치권 | 외교·국방은 영국, 내정은 현지 자치 정부가 담당 |
영국법 적용 여부 | 일부 영국법은 자동 적용되지 않음, 필요 시 별도 입법 절차 필요 |
✅ 이들 지역은 자발적으로 영국에 잔류한 지역으로, 독립을 원하지 않거나 주민 투표로 영국령을 유지 중
3. 영국과의 관계
- 외교·국방·시민권은 영국이 전담
- 내정, 경찰, 조세 등은 대부분 현지 자치 정부가 운영
- 주민은 영국 시민권자
- 영국 의회에 대표권 없음, 대신 영국 총독이 파견됨
📌 영국 법은 BOT에 자동 적용되지 않으며, 일부 법률은 별도 승인 필요
4. 영국령 역할
- 전략적 군사 거점 (예: 지브롤터, 포클랜드)
- 조세 피난처 및 금융 허브 (예: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 생태·관광자원 보존 지역 (예: 피트케언 제도, 생헬레나)
📌 경제적으로 영국에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일부 지역은 영국 정부의 지원금으로 운영됨
5. 대표적인 지역
대륙 | 대표 영국령 |
---|---|
유럽 | 지브롤터 (Gibraltar) |
아프리카 | 세인트헬레나 (St. Helena) |
카리브해 | 케이맨 제도, 버진아일랜드, 몬트세랫 |
남아메리카 | 포클랜드 제도 (Falkland Islands) |
아시아 인근 | 아크로티리·데켈리아 (키프로스 내 군사기지) |
태평양 | 피트케언 제도 |
영연방 VS 영국령 차이 비교
항목 | 영연방 (Commonwealth) | 영국령 (British Overseas Territories) |
---|---|---|
정의 | 영국과 역사적 관계 있는 독립국가들의 협의체 | 영국이 여전히 통치권을 가진 해외 영토 |
지위 | 완전한 주권국가 | 유엔이 인정한 비독립 지역 |
법적 주체 | 각국 자체 헌법 및 법체계 | 영국 의회 통제 (일부 자치 허용) |
수량 (2025) | 56개국 | 14개 지역 |
대표 국가/지역 | 인도, 캐나다, 호주, 말레이시아 등 | 지브롤터, 케이맨 제도, 포클랜드 제도 등 |
가입 조건 | 반드시 영국 식민지였던 국가는 아님 | 대부분 자발적 잔류, 주민투표로 결정 |
시민권 | 자국 시민권 | 영국 시민권 보유 |
통치 여부 | 없음. 외교·국방도 자체 수행 | 영국이 외교·국방 주도, 일부 자치 가능 |
영국 국왕과의 관계 | 일부 국가에서 형식상 국가원수 | 총독 파견, 실질적 통치 가능 |
영국법 적용 | 전혀 없음 | 일부 지역은 자동 적용 불가, 별도 법률 필요 |
정치 역할 | 민주주의, 인권, 법치 협력 | 없음 (행정 소속에 가까움) |
경제 기능 | 무역, 투자 협력 확대 | 조세피난처, 금융 중심지 활용 |
군사·외교 | 자국 주도 | 영국 군사기지, 전략 거점 |
문화·교육 | 청년 교류, 영어 교육, 스포츠 교류 | 관광, 생태보존 중심, 경제 의존도 높음 |
대표 예시 | 인도,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공 | 케이맨 제도, 지브롤터, 포클랜드 제도, 피트케언 섬 등 |
정치적 지위 | 독립 국가 | 영국 행정 소속 |
시민권 상태 | 없음 | 있음 |
목적 | 협력과 연대 | 통치와 관할 |
결론
영연방은 ‘과거 영국과 연결된 독립국들의 협력체’로, 자발적 가입과 독립 주권이 보장된 정치·경제 연대 조직입니다. 반면 영국령은 ‘영국이 통치하는 해외 영토’로 외교와 국방을 영국이 담당하며 일부 자치만 허용되는 실제 관할지입니다.
드레이크가 태어난 캐나다는 독립된 주권국이지만, 영연방 소속으로 형식상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두는 국가입니다. 따라서 “캐나다는 영국 소유다”라는 말은 절반은 사실이지만, 통치의 의미로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개념 | 설명 | 대표 예시 | 특징 |
---|---|---|---|
영연방 (Commonwealth) | 영국과 역사적으로 연관된 독립국들의 협의체 | 캐나다, 인도, 호주 | 자발적, 주권국가, 협력 중심 |
영국령 (BOTs) | 영국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해외 지역 | 케이맨 제도, 지브롤터 | 자치 일부 허용, 시민권 제공, 군사·경제 의존 |
캐나다는 영국의 식민지인가요?
아니요. 현재는 독립된 주권국이며 영연방 소속입니다. 영국 국왕을 형식적 국가원수로 두고 있으나 통치권은 없습니다.
영연방 국가들은 영국 시민권이 있나요?
아닙니다. 영연방은 정치적 협력체이며, 시민권은 각국의 자국 시민권을 유지합니다.
영국령은 독립 국가인가요?
아니요. 유엔이 인정한 비독립 지역으로, 외교와 국방은 영국이 전담하며 일부 자치만 허용됩니다.
영국령에 살면 영국 여권이 나오나요?
대부분의 영국령 거주민은 영국 시민권을 부여받으며, 영국 여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영연방이나 영국령에 속하나요?
아니요. 한국은 영국과 식민지 관계가 없었으며, 두 범주 모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