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타율‘이라는 말은 익숙하실 겁니다. 그런데 타율만으로는 선수의 실력을 다 알 수 없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 소개할 야구 세이버 매트릭스 용어 BABIP(바빕)은 우리가 경기에서 눈으로 보기 어려운 ‘운’과 ‘실력’을 숫자로 구분해주는 숨은 통계 지표입니다.
야구 바빕 뜻 (BABIP)
야구 바빕 뜻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을 어렵게 설명하면 정말 어렵습니다. 이를 아주 쉽게 한 줄로 설명하면 “수비가 잡을 수 있는 공이 얼마나 안타가 되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요즘 유행하는 세이버 매트릭스 용어 중에 하나이고, 운과 실력 중에 하나라는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즉, 삼진이나 홈런은 제외하고, 수비가 처리할 수 있는 타구만을 대상으로 삼은 타율입니다. 계산 방법을 보면 삼진이나 홈런의 수량을 빼고, 안타와 나머지 값들로 계산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일반 타율: 안타 ÷ (타수)
- BABIP: 인플레이 안타 ÷ (인플레이 타구 수)

공이 인플레이 되었을 때만 계산한다
BABIP의 가장 큰 특징은, 다음 항목들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야구에서 인플레이가 어떤 의미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 쉽게 말하면 “안타거나”, “아니거나”만 따지는 것입니다. 아래 3가지는 인플레이가 아님으로 타수가 올라가지 않습니다. (타석은 올라감)
- 삼진(K): 인플레이 타구가 아님
- 홈런(HR): 수비수가 잡을 수 없는 공
- 볼넷/사구: 타격 자체가 아님
즉, BABIP는 실제로 수비수에게 맡겨진 공에 대해 얼마나 안타가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수비가 못 잡으면 1안타가 되는 것이고, 수비가 잡으면 아웃이 되는 것 중에 하나 입니다.
상황으로 쉽게 설명
여러가지 정의를 설명 드리니 복잡하죠? 이를 이해하기 쉽게 상황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세이버 매트릭스 지표가 어렵게 배우면 정말 어려운데 쉬운 설명으로 들어보면 바로 이해가 됩니다.
강백호가 타석에 들어가서 공을 쳤습니다. 공은 멀리 날아가다가 중견수와 유격수 사이에 떨어집니다. 강백호는 1루에 도착을 하였고 이는 안타가 되었습니다. 이때 홈런, 삼진, 볼넷이 아니기 때문에 바빕이 올라갑니다. 아무리 수비수가 잡기 어렵게 멀리 떨어지는 공이라고 한들 홈런처럼 아예 못 잡는 공이 아니기 때문에 바빕이 올라갑니다.
이렇게 보면 안타와 같다고 생각을 할 수 있는데 홈런을 치는 경우 1타석 1안타 1홈런으로 기록이 되지만 바빕은 올라가지 않습니다. 강백호가 홈런을 쳤다면 1타석 1안타 1홈런 0바빕으로 기록이 되죠. 이유는 수비가 홈런된 공을 잡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담장에 맞는 공, 지면에 튀에서 담장을 넘어가는 공 이런 공들은 수비수가 정말 어렵지만 홈런처럼 아예 손을 못 쓰는 공이 아니기 때문에 바빕이 올라갑니다.
정리하면
바빕이 올라가는 경우:
- 안타인 경우
- 담장 맞고 안타가 된 경우
- 지면에 튀에서 담장 밖으로 넘어서 2루타가 인정 되는 경우
바빕이 안 올라가는 경우:
- 홈런
- 삼진
- 볼넷넷
홈런을 치는 경우:
- 1타수 1안타 1홈런 0바빕 (바빕음 올라가지 않음)
운일까? 실력일까? BABIP의 해석법
많은 분석가들은 BABIP를 두고 이렇게 말합니다: “BABIP는 운의 척도다.” 타자가 홈런을 제외하고 얼마나 1루타, 2루타, 3루타 등이 나타나는지 알려주는 지표로 일종의 컨택이 좋은 타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이를 운의 척도라고 하는 것은 타자가 공을 아무리 잘 때려도 3할 이상으로 출루하기 어렵습니다. 야구는 9명의 수비가 퍼져서 타자의 공을 잡는 게임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단순하게 실력만 가지고 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닌 수비가 잘 못하는 운도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BABIP는 평균 0.290~0.310 사이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지표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결국은 컨택이 뛰어난 선수에서 가능한 것이고, 운이 아무리 좋아도 방망이에 공을 맞추지 못하면 바빕은 오를 수 없습니다.
물론 바빕에는 유명한 회귀 규칙이 있습니다. 한 시즌 BABIP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으면 다음 시즌에 평균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운의 척도라고 많이 불리는 것이죠.
세이버 매트릭스가 계속 발전을 할 것인데 바빕을 제외한 컨택에 대한 지표도 더 추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컨택으로 인해서 얼마나 많은 공을 맞추고 출루를 하는지 계산이 필요합니다.
마치며
야구 바빕 뜻, 중요한 이유, 쉬운 설명 (BABIP, 세이버 매트릭스)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야구는 하나의 통계 학문의 덩어리기 때문에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정보가 궁금하면 아래 글을 눌러보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