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라고 하면 디지털 조각에 거품이 낀 가격만 붙여 놓고 판매하는 사기라고 많이 생각합니다 . 그러나 벅스코인 재단에서 출시한 벅스 NFT는 기존의 NFT와는 완전히 다른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벅스코인 NFT 출시와 기존 NFT와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벅스코인 NFT 출시

4월 17일 벅스코인 NFT가 출시하였습니다. NFT 시장은 99% 폭락한 것으로 알고 있을 것인데 왜 벅스코인 재단은 NFT를 출시하게 되었는지 배경과 기존 NFT와 얼마나 다른지 알아봅시다.

벅스코인 NFT 출시
출처: 벅스코인 NFT 출시

벅스코인 NFT 특징

벅스코인 NFT도 그림을 판매하는 것은 기존 NFT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림은 벅스코인 창시자인 조인범을 그린 것이고,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다이아몬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벅스코인으로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그림만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2025년 12월 9일에 구매한 가격의 20% 이자를 붙여서 돌려주는 채권형 NFT입니다. 이는 금융 상품 중에 만기채와 가장 비슷합니다.

  • 만기에 20% 이자를 얹혀서 돌려줌
  • NFT 그림은 그대로 소유함
  • 예: 100만 벅스코인으로 1개 NFT를 구매 했다면 12월 9일에 120만 벅스코인를 받음
  • 벅스 NFT 사이트에서 유저간 거래 가능

제가 벅스코인 NFT를 보고 만기채와 비슷하다고 이야기 하는 것은 유저간의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NFT 역시 유저들 간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가치가 없는 그림을 거래하고 있으니 99% 폭락하게 되었습니다. 벅스코인 NFT는 만기가 되면 20%의 이자를 주기 때문에 채권을 거래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벅스코인 NFT 유저간 거래

벅스코인 NFT 유저간 거래
벅스코인 NFT 유저들이 판매하고 있는 사진이다. (20만 벅스 NFT가 100만 벅스에 판매되고 있다.)

벅스코인 NFT가 기존 NFT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유저간의 거래입니다. BUGSNFT.com에서 서로 사고 팔 수 있으며, 현재는 수수료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판매하는 벅스코인 NFT를 구매하고, 만기까지 들고 있으면 벅스코인 NFT 가격이 20%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벅스코인 NFT 종류 및 가격

  • 브론즈: 필요 벅스코인 20만개 – 판매 수량 500개
  • 실버 필요 벅스코인 50만 개 – 200개
  • 골드 필요 벅스코인 100만 개 – 150개
  • 플래티넘 필요 벅스코인 500만 개 – 100개
  • 다이아몬드 필요 벅스코인 1,000만 개 – 단 15개

벅스코인 NFT 풀 (총 수량, 이자 수량)

  • 총 1,000,000,000 BGSC (10억 벅스코인 수량으로 판매)
  • 이자: 200,000,000 BGSC (2억 벅스코인 만큼 이자 지급)

벅스코인 NFT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험?

벅스코인 NFT에서 20%의 이자를 주는 것도 창시자 조인범이 자신의 사비로 시장에서 벅스코인 매수한 것을 다시 돌려주는 것입니다. 즉, 재단이 추가로 코인을 찍어내는 것이 아님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벅스코인 NFT 이자 구조
벅스코인 NFT 이자 구조

그러나 가격 변동은 존재합니다. 시장에서 자사주 매입으로 구매한 코인들이 1년이 지나서 다시 시장에 풀리는 형태기 때문에 매도 물량이 나오며 가격 하락은 생길 수 있는 것이죠.

  • 현재 인범이 개인 사비로 구매한 벅스: 4.17억개
  • 12월 9일 이자로 풀리는 벅스: 2억개

기존 NFT 설명

NFT는 기술만 보면 상당히 우수합니다. 블록체인에 소유 증명을 업데이트 하기고 증명서가 엄청 많기 때문에 조작이 불가능한 기술입니다. 하지만 한국을 포함한 외국까지 NFT라고 해봤자 거품이 끼여있고, 쓸모가 없고, 마냥 비싸게 판매만 했기 때문에 결국에는 NFT 시장이 몰락하게 되었죠.

40억에 팔린 NFT 그림
40억에 팔린 NFT 그림

위 그림은 NFT가 처음 나왔을 당시에 40억 원(819 ETH)에 거래가 된 디지털 그림입니다. 이더리움으로 거래가 되었고, 모든 이더리움 블록체인에는 이 그림의 소유주 이름이 적혀 있기 때문에 조작이 불가합니다. 물론 해당 그림이 40억의 가치가 있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기존 NFT와 벅스코인 NFT 차이

차이점기존 NFT벅스코인 NFT
가치의 형태신뢰 가치20% 이자 확정 가치
가치가 있는가?없음채권과 동일한 가치임, 자신이 됨
수익 구조시세 변동20% 확정 수익
리스크이미 99% 폭락벅스코인 가격 하락 위험

벅스코인 NFT 구매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시장에서 벅스코인을 구매한 이후 메타마스크로 옮긴 후에 지갑을 연결하고 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BNB 가스피 필요합니다.)

20% 수익은 어디서 나오나요?

창립자가 시장에서 매입한 것을 이자로 돌려주는 것입니다. 자사주 매입 이후 방출하는 개념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자사주 매입한 것을 돌려주면 디플레이션에서 물가안정 상태가 되는 건가요?

정확합니다. 자사주 매입으로 디플레이션을 만들었는데 이를 다시 풀면서 물가안정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마치며

벅스코인 NFT 출시, 기존 NFT 차이점 (인플레이션, 수익 20%)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벅스코인을 미래가 매우 밝은 코인이지만 구매하는데 까다로움이 있습니다. 이런 번거로움을 이기고 투자하는 사람만이 수익을 손에 검어 질 수 있습니다.